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원장 김충남)은 수산자원 조성과 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갑오징어와 주꾸미, 어린꽃게 방류에 대대적으로 나서고 있다.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부가가치가 높은 품종인 어린 갑오징어 2만 마리와 어린 주꾸미 10만 마리를 25일 신안해역에 방류했다. 앞서 23일엔 영광과 해남서 각각 주꾸미 10만 마리, 20일엔 여수와 무안서 각각 갑오징어 2만 마리를 방류했으며 7월 초에 함평서 갑오징어와 주꾸미를 방류할 예정이다.
방류한 갑오징어와 주꾸미 종자는 신안군수협 등과 함께 생산했다. 4~5월 우량어미를 확보해 산란유도 과정을 거쳐 1개월 동안 수조에서 부화 및 성장시킨 것이다.
갑오징어와 주꾸미는 국내 생산량에 비해 소비량이 많아 수입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자원증대를 위해 2013년부터 지금까지 갑오징어 종자 44만 마리, 주꾸미 종자 304만 마리를 지속해서 방류하고 있다.
특히 갑오징어는 타우린과 DHA 함량이 높아 현대인에게 맞는 고단백·저지방 웰빙식품이다. 일반 오징어보다 살이 두툼하고 식감이 쫄깃해 국민적 선호가 높다. 제철인 5~6월 활 갑오징어 한 마리당 2만~3만 원을 호가하는 등 경제적 가치가 높다.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또 지난 19일 진도 조도해역에 어린꽃게 60만 마리를 방류했다. 7월까지 총 300만 마리 방류할 계획이다.
방류한 어린꽃게는 지난 4월부터 진도 해역에서 직접 확보한 어미 꽃게를 활용해 자체 생산한 종자다. 해양수산과학원은 성숙 유도를 위한 온도 조절, 부화 및 먹이생물 배양 등 고도화된 양식 기술을 통해 어린 꽃게를 성공적으로 생산했다.
전남해양수산과학원은 2021년부터 어린 꽃게 방류 사업을 꾸준히 추진했다. 매년 지속적인 방류를 실시한 결과 최근 4년간 진도군 꽃게 생산량은 연간 1천 톤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연간 생산액도 200억 원에 달하는 등 어업인의 안정적인 소득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어린꽃게 방류실적 : 415만 마리(’21년 100, ’22년 30, ’23년 75, ’24년 210)
*진도군 꽃게 생산량(톤) :’20) 989 → ’21) 1,022 → ’22) 1,065 → ’23) 997 → ’24) 1,091
*진도군 꽃게 생산액(억원) : ’20) 175 → ’21) 199 → ’22) 173 → ’23) 200 → ’24) 200
김충남 전남해양수산과학원장은 “기후변화 등 영향으로 수산자원량이 지속해서 감소하면서 어업인들 사이에서 방류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어입인의 요구 품종을 적극 반영해 부가가치가 높은 연근해 수산자원 품종의 다양화 및 자원 조성 기술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흥군 고흥군(군수 공영민)은 26일 군청 우주홀에서 언론인과 간부 공무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
2025-06-26
전라남도 전라남도 장애인기능경기대회가 27일까지 목포, 영암 등 도내 6개 경기장에서 열려 186명의 선수들...
2025-06-26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고물가·고금리로 경영이 어려운 착한가격업소의 부담을 덜고, 지역 물가안정을 유도하기 위해...
2025-06-26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등 대외 통상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유럽에서 확산하는 한류 인...
2025-06-26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25일 도청에서 여성가족정책관 소관 국도비보조금 집행잔액 미반납금 해소를 위한 시군 과장...
2025-06-25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25일 동부지역본부에서 응급환자 보호를 위해 민간 응급환자이송업체 대표들과 소통 현장 간...
2025-06-25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25일 도청 왕인실에서 도·시군 재난안전담당 공무원 200여 명을 대상으로 재난안전 역량...
2025-06-25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27일까지 3일간 영암 삼호종합문화체육센터에서 도·시군, 한국지방세연구원, 산단 기업 등...
2025-06-25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25일 서울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석유화학·물류 분야 기업, 유관기관, 산단 시행사 등 ...
2025-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