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신입생에서 “재학생이 점차 감소하고 재수생 이상이 증가하는 경향”이다.
(전체) |
|
|
|
|
학년도 |
재학생 |
재수생 |
삼수 이상 |
N수생 |
2019 |
76.9% |
14.7% |
4.8% |
19.5% |
2020 |
75.9% |
15.6% |
4.7% |
20.3% |
2021 |
77.7% |
13.9% |
4.5% |
18.4% |
2022 |
74.6% |
15.5% |
6.3% |
21.9% |
2023 |
70.9% |
18.8% |
7.4% |
26.2% |
2024 |
69.8% |
19.0% |
8.0% |
26.9% |
2025 |
70.2% |
17.5% |
8.8% |
26.3% |
* 최종등록 ** N수생 : 재수생과 삼수 이상의 인원으로 산출
*** 이외 조기졸업, 검정고시 있음 **** 반올림으로 사칙연산 유의
서울대학교가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에게 제공한 ‘신입생의 N수생 현황’으로 산출하면, N수생은 2019학년도 19.5%에서 2025학년도 26.3%로 증가 추세다. 삼수 이상은 4.8%에서 8.8%로 역시 늘었다.
서울대는 “N수생 변화 추이를 볼 때, 재학생이 점차 감소하고 재수생 이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2023학년도 이후 N수생은 더 늘었다. 2020학년도 20.3% 등 다섯 명 중 한 명이었는데, 2023학년도 26.2% 등 신입생 네 명 중 한 명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정시 확대 시기와 겹친다.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은 양상이 다르다. 수시모집에서는 재학생이 증가하고, N수생이 감소하는 추세다. 재학생은 2025학년도 92.0%, 7년 평균 90.8% 등 대부분이다.
(수시) |
|
|
|
|
학년도 |
재학생 |
재수생 |
삼수 이상 |
N수생 |
2019 |
89.7% |
5.1% |
0.8% |
5.9% |
2020 |
89.4% |
5.6% |
0.9% |
6.5% |
2021 |
90.2% |
5.2% |
0.8% |
6.0% |
2022 |
91.0% |
4.7% |
0.5% |
5.2% |
2023 |
92.0% |
3.6% |
0.4% |
4.0% |
2024 |
92.0% |
3.7% |
0.4% |
4.0% |
2025 |
92.0% |
3.4% |
0.3% |
3.7% |
7년 평균 재학생 90.8%
정시모집에서는 N수생이 절반을 넘고, 재학생보다 많다. 2025학년도 N수생은 57.3%이고 재학생은 40.3%다. 삼수 이상은 2019학년도 15.3%에서 꾸준히 늘어 2025학년도 20.4%로 정시 다섯 명 중 한 명이 되었다.
(정시) |
|
|
|
|
학년도 |
재학생 |
재수생 |
삼수 이상 |
N수생 |
2019 |
43.0% |
40.3% |
15.3% |
55.6% |
2020 |
37.5% |
44.1% |
15.3% |
59.4% |
2021 |
37.4% |
42.2% |
16.3% |
58.5% |
2022 |
39.4% |
38.8% |
18.8% |
57.6% |
2023 |
40.6% |
40.6% |
17.4% |
58.0% |
2024 |
39.1% |
40.2% |
18.5% |
58.7% |
2025 |
40.3% |
36.9% |
20.4% |
57.3% |
7년 평균 재학생 39.7% N수생 57.9%
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갑) 김문수 의원은 “서울대도 N수생 증가가 확연하다”며 “학생 개인에게는 여러 번 도전한다는 의미가 있지만, 사회적으로는 재수의 비용이나 임금격차, 의대열풍, 학벌사회 등 여러 측면을 생각하게 만든다”면서 “N수생 증가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부터 교육당국의 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는 재학생 감소 및 N수생 증가세에 대해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재학생 수 자체가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시 선발 비율 확대 및 의약학 계열 선발제도 변화 등의 대입과 관련한 제도 변화 및 사회적 요구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다양하게 작용한 결과로, N수생 변화 추이에 대한 해석은 관점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서울대가 제공한 현황은 최종등록 기준이다.
<참고> 서울대학교 자료 중에서
(단위: 명)
학년도 |
구분 |
재학생 |
재수생 |
삼수 이상 |
조기졸업 |
검정고시 |
|||||
인원 |
비율 |
인원 |
비율 |
인원 |
비율 |
인원 |
비율 |
인원 |
비율 |
||
20191) |
수시 |
2,172 |
89.7% |
124 |
5.1% |
20 |
0.8% |
100 |
4.1% |
6 |
0.2% |
정시 |
391 |
43.0% |
367 |
40.3% |
139 |
15.3% |
- |
0.0% |
13 |
1.4% |
|
2020 |
수시 |
2,209 |
89.4% |
138 |
5.6% |
23 |
0.9% |
95 |
3.8% |
6 |
0.2% |
정시 |
326 |
37.5% |
384 |
44.1% |
133 |
15.3% |
- |
0.0% |
27 |
3.1% |
|
2021 |
수시 |
2,310 |
90.2% |
132 |
5.2% |
21 |
0.8% |
86 |
3.4% |
12 |
0.5% |
정시 |
298 |
37.4% |
336 |
42.2% |
130 |
16.3% |
- |
0.0% |
33 |
4.1% |
|
2022 |
수시 |
2,138 |
91.0% |
111 |
4.7% |
12 |
0.5% |
80 |
3.4% |
9 |
0.4% |
정시 |
431 |
39.4% |
424 |
38.8% |
206 |
18.8% |
1 |
0.1% |
31 |
2.8% |
|
2023 |
수시 |
1,862 |
92.0% |
72 |
3.6% |
9 |
0.4% |
74 |
3.7% |
8 |
0.4% |
정시 |
572 |
40.6% |
573 |
40.6% |
245 |
17.4% |
- |
0.0% |
20 |
1.4% |
|
2024 |
수시 |
1,961 |
92.0% |
78 |
3.7% |
8 |
0.4% |
81 |
3.8% |
4 |
0.2% |
정시 |
601 |
39.1% |
619 |
40.2% |
284 |
18.5% |
1 |
0.1% |
33 |
2.1% |
|
2025 |
수시 |
1,965 |
92.0% |
73 |
3.4% |
6 |
0.3% |
83 |
3.9% |
10 |
0.5% |
정시 |
627 |
40.3% |
574 |
36.9% |
318 |
20.4% |
- |
0.0% |
37 |
2.4% |
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6조 제1항에 의거 입학 관련 기록물은 그 보존 기간이 5년(2020학년도부터 10년)으로, 2019학년도 현황은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내 각 학년도별 대학 신입학생 최종 선발 결과 보도자료에서 발췌
※ 2018학년도 이전: 서울대학교 홈페이지에서 전형별 최초 선발자 기준 현황 확인 가능
□ N수생 변화 추이를 볼 때, 재학생이 점차 감소하고 재수생 이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학령 인구 감소에 따라 재학생 수 자체가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시 선발 비율 확대 및 의약학 계열 선발 제도 변화 등의 대입과 관련한 제도 변화 및 사회적 요구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다양하게 작용한 결과로, N수생 변화 추이에 대한 해석은 관점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