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13일 국회에서 지난 3년간 연구·개발해 완성한 신규 활성처리제를 어업 현장에 신속히 보급하기 위해 국회의원, 관계기관, 어업인 등에게 설명하는 신규 김 활성처리제 개발 완료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신규 김 활성처리제는 김 양식 어업인의 40년 숙원 해소를 위한 것으로, 기존 김 활성처리제보다 ▲파래·요각류 제거 ▲균 억제 등 병해충 방제 ▲유해물질 부착 방지 ▲작업시간 단축 등이 개선됐다.
특히 기존활성처리에 비해 산 성분을 절반으로 줄여 친환경적이고 처리비용도 절감돼 어업인의 기대가 크다.
신규 김 활성처리제는 국내외 특허 출원을 통해 지식재산권을 확보했으며, 2025년산 김 생산 시기, 대규모 현장 적용시험(4개 시군 1천100ha)을 통해 130명이 직접 사용, 개발 제품의 효능을 검증했다.
*(국내 특허) 10-2024-76080(’24.6.12.) / (일본 특허) 2025-8466(’25.1.21.)
성과보고회에선 개발 경과와 성능 평가 결과 발표, 제품 사용 방법 설명, 어업인 의견수렴이 이뤄졌다.
또한 해양수산부 ‘김 활성처리제 사용기준’ 고시 개정 등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김 생산 어업인은 지난 2년간 양식 현장에서 신규 김 활성처리제를 사용한 결과 “무기산 사용량의 절반 정도로도 효능이 충분하고, 작업이 편해서 상당히 만족한다”며 “올해 김 양식 시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조속히 대량 공급이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국회의원 시절 때부터 김 생산 어업인들에게 무기산을 대체할 김 활성처리제 개발을 약속했던 것을, 도지사 취임 이후 관련 예산을 세워 마침내 어업인 40년 숙원을 해결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남도와 수협이 힘을 모아 무기산을 대체할 효과 좋고, 안전한 신규 김 활성처리제 개발에 성공한 만큼, 조속히 고시가 개정돼 올해 김 양식 시기에 공급되도록 노력하겠다”며 “김 산업을 더 크고 탄탄한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제 수출단지 조성 등을 포함한 케이-김(K-GIM) 국가전략산업 클러스터 구축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양시 광양시는 ‘돌아오는 농촌, 청년이 정착하는 농촌’ 실현을 목표로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 회복과 생명...
2025-08-13
전라남도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3일 “정부 5개년 국정과제에 국립의대 신설과 RE100 산단을 비롯한 지역...
2025-08-13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13일 도청 정철실에서 ‘2025년 음식·숙박업소 위생·친절서비스 개선 간담회’를 개최,...
2025-08-13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13일 보성 다비치콘도에서 마늘·양파 광역 주산지협의체 워크숍을 열어 원예농산물 생산과 ...
2025-08-13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13일 전남테크노파크에서 이차전지 특화단지 협의체 발족식 및 킥오프(kick-off) 회...
2025-08-13
고흥군 고흥군(군수 공영민)은 군민과 더 가까이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공영민 군수가 출근길 ‘걸어서...
2025-08-13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13일 도청 1층 윤선도홀에서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전남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무안...
2025-08-13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최근 고수온 피해와 국내 경기침체로 위축된 수산물 소비를 촉진하고, 소비 부진으로 어려운...
2025-08-13
전라남도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를 만나 2026년 전남 핵심 현안사업...
2025-08-13
(재)2026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 (재)2026여수세계섬박람회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지난 11일...
202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