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올해 지역 벼 재배면적이 14만 2천443ha로 전년(14만 7천738ha)보다 5천295ha가 줄어 전국 시·도 중 최대 면적을 감축, 산지 쌀값 상승을 견인했다고 밝혔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벼 재배면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벼 재배면적 감축 규모는 시·도별로 ▲전남 5천295ha ▲충남 4천515ha ▲전북 3천629ha ▲경북 2천723ha ▲경남 2천254ha 순으로, 전남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전국적으로는 약 2.9%로 2만 199ha가 줄었다. 전남 지역은 8개 시·도 중 최대 감소폭인 3.6%를 기록해 전국 최대 감소폭과 감소면적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벼 적정생산을 통한 쌀값 상승의 주요 배경으로 풀이된다. 전남도의 벼 재배면적 감축 노력 성과다.
정부는 올해 쌀값 안정을 위해 전국 벼 재배면적을 8만ha 감축하는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대대적으로 시행했다. 이에 전남도는 논에 벼 대신 논콩, 가루쌀, 조사료 등 대체 작물을 집중 육성해 농업인의 소득과 농경지 면적은 유지하면서 벼 재배면적을 감축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특히 전남도는 논 타작물 전환 농가의 안정적 영농을 위해 ▲논 타작물 임대농기계 구입지원(67대 17억 원) ▲논 타작물 재배지원(1천500ha 30억 원) ▲조사료 재배단지 (200ha 2억 원) ▲논콩 전문단지 조성 (8개소 21억 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그 결과 11월 5일 현재 산지 쌀값은 80kg 기준 전년(18만 2천700원)보다 4만 5천116원이 높은 22만 7천816원을 기록했다.
신정옥 (사)한국쌀전업농 전남도연합회 회장은 “정부와 전남도의 노력으로 모처럼 쌀값이 상승해 농업인의 기대감이 크다”며 “농민에게 수확기 쌀값은 1년 농사의 보상인 만큼 올 한 해 쌀값 가격 결정이 잘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유덕규 전남도 식량원예과장은 “쌀값 상승의 일등공신은 평생 벼농사를 지어오다 논콩·조사료 등으로 전환해준 농업인”이라며 “벼 재배농가와 논 타작물 재배농가가 모두 ‘윈-윈’하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벼 재배면적을 감축한 전남도는 2026년 정부 공공비축미 인센티브 물량, RPC 벼 매입자금, 고품질쌀 유통활성화 공모사업 등에서 가점 혜택을 받을 예정이다.
광양시 광양시는 한국산학혁신연구원(원장 이광배)과 국립순천대학교(총장 이병운)가 공동 주관한 ‘한국산학혁신연...
2025-11-17
광양시청 광양시는 2026년부터 시행되는 주민자치회 시범실시를 앞두고, 관내 12개 읍·면·동에서 주민자치회...
2025-11-17
광양시청 광양시는 주요 세원 감소로 인한 재정 압박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 방식으로 내년 재정...
2025-11-17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지난 15일 부산호남향우회와 함께 2025년 부산 불꽃축제 현장에서 고향사랑기부제와 전남...
2025-11-16
전라남도 전라남도농업박물관이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에 등재된 줄다리기 문화를 기리고, 그 전통의 가치를 널리 ...
2025-11-16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산림조합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 주최로 2025 광주·전남 산림조합 임직원 한마음대회가 ...
2025-11-15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곡성 고달면 가정마을을 11월의 농촌체험휴양마을로 선정했다. 곡성 가정마을은 우리나라 1...
2025-11-15
전라남도 전라남도산림연구원은 화장품·식품·의약소재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활용 가능한 산림바이오 소재 ‘병풀(...
2025-11-15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올해 친환경농산물 인증 면적이 15년만에 늘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
2025-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