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이화여대·동아대·경희대·서울과기대·부산여대 사고건수·사상자수 최다
최근 5년간 전국 대학 실험‧실습실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1,100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부상자만 1,190여 명에 달하고, 사망사고도 2건 발생해 대학 연구실 안전 관리가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시설안전원이 국회교육위원회 김문수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남 순천갑)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대학 실험실 사고는 총 1,113건 발생했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2명, 부상자는 1,190명에 달했다.
대학 실험실 사고는 해마다 어김없이 이어졌다. 2020년 167건으로 시작해 2021년에는 201건으로 껑충 뛰었고, 2022년 잠시 180건으로 줄어드는 듯했지만, 곧바로 2023년 212건, 2024년 208건으로 다시 늘었다. 올해도 8월까지만 이미 145건이 보고됐다.
사고 피해도 점점 커지고 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는 한 건의 사고당 피해자가 1.1명을 밑도는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올해 들어서는 사고 한 건마다 평균 1.12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가 줄지 않는 데다, 피해 규모가 확대된 것이다.
대학별로는 경북대학교가 50명의 부상자로 가장 많았다. 이화여자대는 사망자 1명을 포함해 44명의 피해자가 발생, 피해 보상금액도 2억 1,850만원으로 전체 대학 중 최대 규모였다. 동아대(37명), 경희대(28명), 부산여대(28명), 서울과학기술대(27명) 등이 뒤를 이었다.
사고 원인으로는 ‘조작·사용 부주의’(602건), ‘위험물 취급 부주의’(289건)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보호구 미착용, 안전장치 미설치, 기기 노후화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안전 점검과 안전문화 확산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혀, “보여주기식 점검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김문수 의원은 “대학 연구실은 학생들이 교육과 연구를 병행하는 공간인데, 여전히 사고가 매년 수백 건씩 발생한다는 것은 제도적 미비를 방증한다”며 “교육부와 대학은 형식적 점검이 아니라 실질적 안전 관리와 예방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붙임 |
|
2020년~2025년 9월까지 대학 실험・실습실 사고 현황 |
|
|
|
|
|
|
대학 실험․실습실 사고 현황 |
|
|
|
|
|
|
1 |
|
사고현황 |
▮연도별 사고현황
(단위: 건, 명)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8월까지 |
|
사고건수 |
167 |
201 |
180 |
212 |
208 |
145 |
|
사망자수 |
- |
1 |
- |
1 |
- |
- |
|
부상자수 |
184 |
214 |
185 |
227 |
217 |
163 |
|
자료: 한국교육시설안전원, 교육시설 공제정보망(발췌일: 2025. 9. 1.) 주 1) 공제급여 지급이 완료된 건을 대상으로 하며, 연구실 형태가 “대학”으로 분류된 건을 집계함. |
||||||
▮연도별 사고유형
(단위: 건)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8월까지 |
|
가스 |
1 |
1 |
- |
3 |
1 |
2 |
|
기계 |
11 |
12 |
13 |
9 |
12 |
18 |
|
생물 |
27 |
41 |
29 |
43 |
12 |
12 |
|
전기 |
1 |
3 |
2 |
- |
5 |
1 |
|
화학 |
47 |
46 |
39 |
43 |
41 |
18 |
|
기타 |
80 |
98 |
97 |
114 |
137 |
94 |
|
자료: 한국교육시설안전원, 교육시설 공제정보망(발췌일: 2025. 9. 1.) 주 1) 공제급여 지급이 완료된 건을 대상으로 하며, 연구실 형태가 “대학”으로 분류된 건을 집계함. 2)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수집하는 사고유형을 기준으로 작성함. - 가스: 가연성 가스 누출·폭발, 독성 가스 누출 / 기계: 끼임 및 절단 / 생물: 병원성 물질 유출, 동물 물림, 바늘 등에 의한 부상 등 / 전기: 감전, 전기화재 / 화학: 화학물질 누출·접촉, 화학물질 화재·폭발 / 기타: 상처 및 출혈, 유해광선 접촉 등 |
||||||
▮연도별 사고발생 형태 또는 원인
(단위: 건)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8월까지 |
|
보호구 미착용/잘못착용 |
16 |
23 |
23 |
15 |
28 |
11 |
|
위험물 취급부주의 |
51 |
51 |
50 |
56 |
50 |
31 |
|
조작·사용 부주의 |
88 |
115 |
101 |
130 |
85 |
83 |
|
안전장치· |
- |
- |
- |
- |
1 |
2 |
|
기기노후 |
- |
- |
- |
- |
1 |
1 |
|
기타 |
12 |
12 |
6 |
11 |
43 |
17 |
|
자료: 한국교육시설안전원, 교육시설 공제정보망(발췌일: 2025. 9. 1.) 주 1) 공제급여 지급이 완료된 건을 대상으로 하며, 연구실 형태가 “대학”으로 분류된 건을 집계함. 2)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관리하는 사고원인별로 변경하여 작성함. |
||||||
▮연도별 상해 부위별 사고발생 현황
(단위: 명)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8월까지 |
|
찰과상/찰상 |
62 |
83 |
74 |
95 |
69 |
70 |
|
화상 |
53 |
51 |
57 |
51 |
69 |
32 |
|
골절 및 신경손상 |
9 |
8 |
10 |
7 |
14 |
5 |
|
안과질환 |
6 |
14 |
5 |
5 |
7 |
11 |
|
염좌 및 타박상 |
12 |
13 |
12 |
10 |
21 |
21 |
|
기타 |
42 |
46 |
27 |
60 |
37 |
24 |
|
자료: 한국교육시설안전원, 교육시설 공제정보망(발췌일: 2025. 9. 1.) 주 1) 공제급여 지급이 완료된 건을 대상으로 하며, 연구실 형태가 “대학”으로 분류된 건을 집계함. 2) 피공제자별로 상이한 상해/질병 유형일 수 있으므로 피공제자 단위로 작성함. 3) 안과질환은 눈(안구) 피해 중 찰과상/찰상, 화상 등 위에 분류된 기준을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함. |
||||||
|
2 |
|
대학별 사고현황 |
▮2020년 1월부터 2025년 8월까지 사고건수 상위 최다 10개
(단위: 명, 백만원)
|
순위 |
대학명 |
사망자수 |
부상자수 |
피해금액 공제급여지급액 |
|
1 |
경북대학교 |
- |
50 |
125.8 |
|
2 |
이화여자대학교 |
1 |
44 |
218.5 |
|
3 |
동아대학교 |
- |
37 |
53.1 |
|
4 |
경희대학교 |
- |
28 |
11.6 |
|
5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 |
27 |
88.3 |
|
6 |
부산여자대학교 |
- |
28 |
3.4 |
|
7 |
마산대학교 |
- |
25 |
4.1 |
|
8 |
대동대학교 |
- |
22 |
1.6 |
|
9 |
세명대학교 |
- |
21 |
3.4 |
|
10 |
한양대학교 |
- |
20 |
9.3 |
▮2020년 1월부터 2025년 8월까지 사상자수 상위 최다 10개
(단위: 명, 백만원)
|
순위 |
대학명 |
사망자수 |
부상자수 |
피해금액 공제급여지급액 |
|
1 |
경북대학교 |
- |
50 |
125.8 |
|
2 |
이화여자대학교 |
1 |
44 |
218.5 |
|
3 |
동아대학교 |
- |
37 |
53.1 |
|
4 |
경희대학교 |
- |
28 |
11.6 |
|
5 |
부산여자대학교 |
- |
28 |
3.4 |
|
6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 |
27 |
88.3 |
|
7 |
마산대학교 |
- |
25 |
4.1 |
|
8 |
전북대학교 |
- |
24 |
14.4 |
|
9 |
경상국립대학교 |
- |
24 |
12.4 |
|
10 |
대동대학교 |
- |
22 |
1.6 |
여수시 여수시(시장 정기명)는 지난 16일 시청 3층 회의실에서 2026여수세계섬박람회의 성공개최를 위한 협...
2025-10-17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및 17개 시·도가 공동 주관...
2025-10-17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목포 문화예술회관 특설무대에서 2025년 소상공인의 날 기념행사를 16일에 개최했다고 밝...
2025-10-17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10월 이달의 임업인으로 광양시 다압면에서 40년간 유기농 밤을 재배해 온 방선호(만 7...
2025-10-17
전라남도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6일 “100년 전 번성했던 보성을 ‘남해안 르네상스 시대의 중심’으로 빛나...
2025-10-17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회의원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전남 순천갑)이 한국학중앙...
2025-10-17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회의원 국회 교육위원회 김문수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남 순천갑)이 교육부와 한국교육시설...
2025-10-17
전라남도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6일 “100년 전 번성했던 보성을 ‘남해안 르네상스 시대의 중심’으로 빛나...
2025-10-17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17일부터 3일간 목포 문화예술회관 일원에서 2025 소금박람회 ‘짠! 소금 페스티벌’을...
2025-10-17